블로그 이미지
흐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02)
잡동사니 (11)
감나무집 (84)
자동차 (2)
건축 (4)
Total
Today
Yesterday

'올해의 건축 베스트7'展으로 읽는 2011 한국 건축 트렌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1/09/2011110900013.html

패션에 유행이 있듯 건축에도 그 시대의 흐름이 있다. 한국 건축의 최근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올해의 건축 베스트 7' 전시다. 11∼16일 서울 목동 대한민국예술인센터에서 한국건축가협회 주최로 열리는 2011 대한민국건축문화제의 한 부문이다. 올해 한국건축가협회상을 받은 작품 7점의 사진·모형이 전시된다. 건축가협회에 따르면 올해 수상작을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전통, 조화, 절제(節制) 세 가지다.


전통의 재발견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 눈길을 끈다. 롯데부여리조트 백상원(설계 김승회·강원필)은 말발굽 모양의 현대적 콘도 건물 2개와 원형의 한옥 회랑이 대조를 이룬다. 현대식 건물에도 발코니처럼 돌출된 부분을 한옥으로 만들어 건물에 한옥이 박혀 있는 듯한 모습을 연출했다. "백제의 모습을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신 방문객들이 저마다 옛 백제를 상상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는 설명이다.

판교신도시의 3층 상가 건물 지노하우스(설계 이기옥)는 외관은 현대적이지만 꼭대기 층 주인집을 한옥 느낌으로 설계했다. "댓돌을 딛고 방으로 올라가도록 공간을 구성한 점, 방과 댓돌이 놓이는 곳의 높낮이를 달리해 한옥의 안마당과 같은 느낌을 구현한 점에서 건축가의 전통에 대한 해석을 볼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마당부터 지붕까지 나선 모양으로 연결된 녹지 가운데 자리 잡은‘문호리 단독주택’. 정의엽·이태경의 작품으로 건물 앞에 연못처럼 물을 채운 공간을 만들어 산기슭의 계곡과 자연스럽게 이어진 느낌이 나게 했다. /한국건축가협회 제공
조화를 추구하는 건축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추구한 '겸손한' 건축물이 인정받았다. 경기 양평군 문호리 단독주택(설계 정의엽·이태경)은 마당에서 시작된 녹지가 완만한 경사의 나선을 그리며 집을 휘감았다. 땅 위에 건물이 서는 게 아니라 땅 안에 건축이 안긴 형상이다.

목조 건물인 서울시립대 강촌수련원(설계 양원모·조남호)은 주변의 자연은 물론 건물 사용자와의 조화까지 고려했다. 계곡을 따라 길쭉한 숙소 건물을 배치했다. 식당·강의실 등이 있는 연수동 내부에는 목재를 썼다.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편안하게 느끼도록 채도를 낮췄다. 강원 양구군의 숲 속에 5채의 주택을 지은 작품 포레스트 퀸텟(설계 이현호)은 지형의 경사, 수목(樹木)의 배치를 살린 점이 돋보인다는 평이다.

롯데부여리조트 백상원(위)은 색색의 루버(벽면에 수직으로 부착한 판 모양의 구조물)로 생동감을 준 현대식 콘도 건물과 한옥 회랑이 대비를 이룬다. 아모레퍼시픽 제2기술연구원 미지움(가운데)은 직선 위주의 단순한 형태와 차분한 색상으로 정돈된 느낌을 줬다. 안중근의사 기념관은 반투명한 소재를 쓴 기둥 모양의 구조물을 규칙적으로 배열했다.
절제의 미학

점점 늘어나고 있는 특이한 모양의 건물 사이에서 간결한 형태의 '절제의 미학'이 오히려 돋보였다. 서울 남산의 안중근의사 기념관(설계 임영환·김선현)은 규칙적으로 기둥 12개를 배열해 세련되고 간결한 형태를 강조했다. 기둥의 곧은 직선이 안 의사의 꼿꼿한 기개를 연상시킨다. 경기 용인시의 아모레퍼시픽 제2기술연구원 '미지움'(설계 김종규·알바로 시자)은 반듯한 직선이 빚어내는 긴장감이 특징이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낙중 건국대 건축대학원 교수는 "과장된 형태가 난무하는 지금의 건축적 상황에서 절제된 직선의 단순한 형태가 더 강렬한 느낌을 준다"고 했다.

조선일보 / 채민기 기자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가들이 뽑은 best & worst  (0) 2011.06.29
목조 건축물 - 수덕사 대웅전  (0) 2011.06.17
김수근 아저씨의 공간사옥  (0) 2009.12.11
Posted by 흐흐
, |




건축가들에 '한국 대표 건축' 물어보니… 선유도공원 1등, 광화문광장 꼴찌
예상 밖의 베스트 - 일반인들 인식과 차이 많아
"외형만 튀는 건축물보다 주변과 조화·역사에 점수"
사람들 찾는 명소는 혹평 - "광화문광장, 건축가도 없이 뚝딱 밀어붙여 만들었다"
"종로타워, 화신百 역사 지워"

본지가 최근 국내 유명 건축가와 건축학과 교수 등 전문가 30명(23명 응답)을 대상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을 설문 조사(복수응답)한 결과 '한강 선유도공원'이 13표로 최고의 건축물로 꼽혔다. 이와 함께 서울 원서동 공간그룹 사옥(9표), 서울 인사동 쌈지길(7표), 경기 파주출판도시(6표), 서울 장충동 웰콤시티(5표)가 '베스트(best) 건축물 5'에 꼽혔다. 5위권 밖에는 인천공항(4표), 경주 선재미술관, 강화도 선두리 주택, 전북 무주 공공시설 프로젝트(이상 각 1표) 등이 있다. '워스트(worst) 건축물 5'로는 광화문광장(10표), 예술의전당(7표), 타워팰리스·청계천(각 6표), 종로타워·용산구청 신청사(각 5표) 등이 선정됐다. 모두 서울에 있다. 지방에선 천안 독립기념관(2표), 대전 월드컵경기장, 대전 정부종합청사(각 1표) 등이 지목됐다.
'베스트 5'는 하나같이 유명 건축물 하면 독특한 외관의 고층 빌딩부터 떠올리는 통념과 거리가 있다. '워스트 5'는 대부분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 명소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공공 장소들이어서 일반인들로선 선뜻 수긍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런 인식차는 건축 전문가들이 건축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비롯됐다. 전문가들은 외형으로 튀려 하기보다는 '주변과 조화를 중시하고 땅에 깃든 역사를 반영한 건물'들을 베스트로 꼽았다. 같은 맥락에서 워스트에 꼽힌 건축물들은 "주변의 맥락(context)과 역사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지적됐다.
한강 선유도공원은 조성룡씨가 설계하고 정영선씨가 조경을 맡았다. 과거 정수장 시설을 허물지 않고 살려서 만든 생태공원이다. 수돗물을 담아놓던 정수지의 콘크리트 기둥들을 없애지 않고 담쟁이덩굴을 키우는 석주(石柱)로 재활용했다〈베스트 사진 1〉. "역사적 유산 보존과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 수작(秀作)"이라는 평이다. 고(故) 김수근이 지은 검은 벽돌의 구(舊)사옥과 그의 제자 고(故) 장세양이 설계한 유리로 된 신(新)사옥으로 구성된 '공간 사옥' 역시 과거와 현재의 조화라는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최문규씨가 설계한 '쌈지길'에 대해선 "완만한 경사를 이룬 길이 건물 꼭대기까지 이어져 규모가 큰 건물인데도 주변 건물들을 짓누르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았다. 민현식·승효상·플로리안 베이겔 등이 공동 작업한 파주출판도시는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자연을 훼손하는 기존 방식을 깬 사례"로 제시됐다. 승효상씨가 설계한 웰콤시티는 내후성(耐候性) 강판 코르텐으로 된 상자 모양 구조물 4개가 놓인 형태로 "건물 사이 빈 공간으로 도시 풍경이 보이면서 서정적 느낌을 주는 점"이 호평을 받았다.
'워스트'의 경우 "광화문광장과 청계천은 한국을 상징하는 공공 건축물인데 건축가도 없이 단기간에 불도저로 밀어붙이듯 만들었다" "예술의전당은 반포대로 끝을 정면에서 가로막아 막다른 길처럼 보이게 했다" "타워팰리스는 지나치게 과밀하고 폐쇄적인 경관을 연출했다" "종로타워는 외국 건축가(라파엘 비뇰리)가 설계를 맡으면서 화신백화점(박길룡 설계) 자리라는 역사성이 사라졌다" "용산구청 신청사는 형태만 있고 내용은 비어 있는 건물"이라는 지적을 각각 받았다. / 채민기 기자 chaepline@chosun.com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조화… 그리고 절제  (0) 2011.11.09
목조 건축물 - 수덕사 대웅전  (0) 2011.06.17
김수근 아저씨의 공간사옥  (0) 2009.12.11
Posted by 흐흐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조화… 그리고 절제  (0) 2011.11.09
건축가들이 뽑은 best & worst  (0) 2011.06.29
김수근 아저씨의 공간사옥  (0) 2009.12.11
Posted by 흐흐
,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조화… 그리고 절제  (0) 2011.11.09
건축가들이 뽑은 best & worst  (0) 2011.06.29
목조 건축물 - 수덕사 대웅전  (0) 2011.06.17
Posted by 흐흐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